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테크179

미국 월배당 ETF HYEM 장점 및 단점 분석 오늘은 미국 월배당 ETF 중 하나인 HYEM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HYEM은 VanEck Vectors Emerging Markets High Yield Bond ETF의 약자로, 신흥국의 고수익 채권을 포함하는 ETF입니다. HYEM은 2012년 4월에 상장되었으며, 현재 약 600개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HYEM의 목표는 신흥국 고수익 채권 시장의 수익률과 위험 특성을 반영하는 ICE BofA Diversified High Yield US Emerging Markets Corporate Plus Index를 추종하는 것입니다. HYEM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월별로 배당금을 지급하므로, 정기적인 현금 흐름을 얻을 수 있습니다. 현재 배당수익률은 약 5.5%입니다. - 신흥국 채권은.. 2023. 7. 2.
미국 월배당 ETF HYLS 장점 및 단점 분석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 월배당 ETF 중 하나인 HYLS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HYLS는 First Trust High Yield Long/Short ETF의 약자로, 고수익 채권을 매수하고 저수익 채권을 공매도하는 롱/숏 전략을 적용한 ETF입니다. HYLS의 목표는 고수익 채권의 수익률과 상관성이 낮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시장 변동성에 대한 내성을 강화하고, 월별로 안정적인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 관련글 : 미국 배당 ETF JEPI와 JEPQ 비교 (공통점과 차이점) HYLS는 2013년 2월에 상장되었으며, 현재 자산규모는 약 30억 달러입니다. HYLS의 수익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1년 수익률: 11.93% - 3년 수익률: 7.12% - 5년 수익률: 6.02% HYLS의 .. 2023. 6. 26.
외국인 단기 차익 실현 국내 주식 증권 시장 전망 (ft.외국인 매도 이유, 향후 국내증시)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권 시장에서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코스피가 단기 급등하면서 일부 차익 실현이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이번 외국인의 매도는 장기적인 투자 전략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 아니라 단기적인 변동성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외국인들은 여전히 삼성전자와 같은 대형주에 대해선 매수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등의 업종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국내 증권 시장은 단기 조정을 거친 후에도 상승 모멘텀을 잃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올해 들어 국내 주식을 폭풍 순매수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코스피에서 15조565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 이상 많은 규모다... 2023. 6. 23.
[재테크] 가장 인기 많은 미국 ETF 순위 TOP 5 미국 주식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다양한 시장입니다. 미국 주식에 투자하려면 개별 종목을 고르는 것도 좋지만, ETF를 이용하는 것도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입니다. ETF는 특정 지수나 섹터, 테마 등을 추종하는 다수의 종목을 한 번에 구매할 수 있어서 다양성과 편리성을 제공합니다. 그렇다면 미국 ETF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인기가 많은지 궁금하실 것입니다. 여러 기준으로 순위를 매길 수 있겠지만, 여기서는 자산규모와 수익률을 기준으로 미국 ETF 순위 TOP 5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SPY : SPDR S&P 500 ETF Trust SPY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ETF로, 1993년에 설립되었습니다. SPY는 S.. 2023. 6. 17.
반응형